엑셀 왕초보 함수 배우기: 데이터 정리 필수! SUM, AVERAGE 함수 쉽게 따라 하기

엑셀 화면에 SUM, AVERAGE 함수 결과가 표시되고 주변에 학용품이 있는 모습

엑셀은 복잡해 보이지만, 아주 유용한 계산기라고 생각하면 편해요. 특히 많은 숫자를 더하거나 평균을 낼 때 엑셀 함수를 사용하면 쉽고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치 손으로 계산하는 대신 똑똑한 도구를 쓰는 것과 같습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SUM 함수와 AVERAGE 함수를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엑셀 함수란 무엇인가요?

엑셀 함수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계산을 해주는 똑똑한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10개의 숫자를 모두 더하고 싶을 때 일일이 계산기로 더하는 대신, 엑셀 함수를 사용하면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어요. 함수를 사용하면 실수를 줄이고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엑셀 함수는 항상 등호(=)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함수의 이름이 오고 괄호 안에 계산할 대상이 들어갑니다. 마치 "이것(=)을 (함수 이름)으로 (계산할 내용) 해줘!" 라고 컴퓨터에게 명령하는 것과 같습니다.

SUM 함수 배우기: 모든 숫자를 더해줘!

SUM 함수는 여러 숫자를 모두 더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 반 학생들의 국어 시험 점수를 모두 더해서 총점을 알고 싶을 때 아주 유용해요. 하나하나 더하기 귀찮을 때 SUM 함수를 쓰면 됩니다.

SUM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더한 값을 표시하고 싶은 빈 칸을 마우스로 클릭합니다. 그다음, 그 칸에 '=SUM('이라고 입력하고, 더하고 싶은 숫자들을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괄호 ')'를 닫고 엔터 키를 누르면 끝이에요.

SUM 함수 사용 예시

아래 표를 보고 설명해 드릴게요. 만약 사과, 바나나, 오렌지 개수를 모두 더하고 싶다면 D2 칸에 총 개수를 구해보겠습니다.

과일 개수
사과 10
바나나 15
오렌지 20
총 개수

D2 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SUM(B2:B4). 여기서 'B2:B4'는 B2부터 B4까지의 칸들을 모두 선택하라는 뜻입니다. 엔터를 누르면 D2 칸에 45라는 숫자가 나타날 거예요. 사과(10) + 바나나(15) + 오렌지(20)를 더한 값입니다.

AVERAGE 함수 배우기: 평균을 구해줘!

AVERAGE 함수는 여러 숫자의 평균을 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 반 학생들의 수학 시험 평균 점수를 알고 싶을 때 아주 편리해요. 모든 점수를 더하고 학생 수로 나누는 복잡한 계산을 AVERAGE 함수가 한 번에 해줍니다.

AVERAGE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SUM 함수와 거의 같습니다. 평균값을 표시하고 싶은 빈 칸을 클릭하고 '=AVERAGE('라고 입력합니다. 그다음, 평균을 낼 숫자들을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선택하고 괄호 ')'를 닫고 엔터 키를 누르면 평균값이 나타납니다.

AVERAGE 함수 사용 예시

아래 표의 학생들 점수 평균을 구해볼까요? F2 칸에 평균 점수를 구해 보겠습니다.

학생 이름 점수
김철수 80
이영희 90
박민수 70
평균 점수

F2 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AVERAGE(D2:D4). 여기서 'D2:D4'는 D2부터 D4까지의 칸들을 모두 선택하라는 뜻입니다. 엔터를 누르면 F2 칸에 80이라는 숫자가 나타날 거예요. 80, 90, 70의 평균값입니다.

함수 사용 시 기억할 점

엑셀 함수를 사용할 때 몇 가지만 기억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어요. 첫째, 함수는 항상 등호(=)로 시작해야 합니다. 둘째, 함수 이름 뒤에는 반드시 괄호가 와야 합니다. 셋째, 괄호 안에는 계산할 숫자나 칸의 범위를 정확하게 넣어줘야 합니다.

만약 숫자가 아니라 글자가 들어있는 칸을 선택하면 함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엑셀은 숫자만 가지고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번만 따라 해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엑셀 함수를 잘 활용하면 데이터 정리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